전 추진위원장 “도로 내주기로 했고, 표지석 군비로 한 것이다”
주민 A씨 “농기계 다닐 수 있게 길 내주기로 해서 한 것”
부안군 관계자 “표지석 당시 전원마을회에서 설치 한 것 같기는 하다”


우동지구 전원마을사업으로 조성된 청자전원마을 입주민들과 전 추진위원장, 만화마을 주민 A씨 간 통행로와 마을 표지석 훼손 문제를 두고 진실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양측 주장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고, 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증거도 없다 보니 서로 자신들의 말이 진실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
이 같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밑바탕엔 전 추진위원장과 또다른 청자전원마을 입주민들과의 갈등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우선 통행로 문제를 살펴보면 마을회 측 VS 전 추진위원장, A씨와 농기계 통행이 가능한 통행로 개설을 놓고 주장이 상반된다.
마을회 측에서는 A씨가 마을회 공동 소유 토지를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입장이고, 전 추진위원장과 A씨는 전원마을조성 당시 길을 내주기로 약속했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현재 마을회 측은 A씨가 무단으로 마을회 소유 토지에 수로 덮개를 추가로 설치하고 그 위에 성토까지 한 뒤 통행로로 사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 작년 11월 마을회 회의를 거쳐 올해 그곳을 펜스를 막았다.
또 A씨를 상대로 원상복구 내용증명을 보냈다.
반면 A씨는 청자전원마을 처음 조성당시 통행로를 내주기로 했고, 그당시 상황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전 추진위원장도 통행로를 내주기로 했었다고 얘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성토 등을 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원상복구를 하지 않고 있다.
부안뉴스가 전 추진위원장에게 이를 확인한 바 A씨의 주장대로 통행로를 내주기로 약속했다고 한다.
하지만 전 추진위원장도 통행로를 내주기로 했다는 근거 서류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진실 규명이 어렵다.
전 추진위원장은 그때 당시 농어촌공사 감리와 당시 (보안)면장이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지만 이들의 거주지 등을 알 수가 없어 확인도 쉽지가 않다.
설사 확인이 된다고 해도 입증 서류가 없기 때문에 마을회에서 인정해줄지는 미지수다.
부안군에 따르면 해당 토지는 마을회 공동소유이고, 공원부지로 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토지 사용여부 결정권은 마을회 측에 있다.
다만 청자전원마을 조성 당시 현재 수로로 조성된 위치에 통행로를 조성해주기로 했었다는 주장이 나왔고, 또 그 당시 그곳에만 수로 덮개를 설치해놨다는 점에서는 논쟁의 소지는 엿보인다.
청자전원마을 앞에 세워진 마을 표지석 뒤쪽에 새겨진 추진위원회 명단 훼손문제로도 갈등을 빚고 있다.
마을회 측은 그 표지석이 마을회 돈으로 세웠고, 추진위원회도 해산돼 의미가 없어 마을회 회의에서 없애자고 해서 그라인더로 갈아낸 것이라는 주장이고, 전 추진위원장은 마을회 돈이 아닌 군비로 세웠고 공공시설물을 훼손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마을회 돈으로 표지석을 설치했다면 그에 대한 지출 내역이 있어야 하는데 전혀 없다는 것.
표지석 설치와 관련 부안군도 마을회에서 설치 했을 것이라는 추측만할뿐 명확한 해답은 내놓지는 못했다.
부안군 관계자는 “표지석 자체는 부안군에서 설치한 것은 아니긴 하다”며 “조성할때 당시 전원마을회에서 설치를 한 것 같기는 하다”고 밝혔다.
이어 “저희는 기반시설이라든가 이런 공사를 담당했기 때문에 표지석까지는 들어가지는 않을 것이긴 한데 100% 확실한 것은 아니고 검토를 해보겠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통행로 개설 문제과 표지석 설치 주체가가 서류상으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고 서로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어 당분간 진실공방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마을회 측 관계자는 “수로 덮개를 해놓은 건 사람들이나 다니라고 한 것이다. 그리고 길이도 2~3미터 정도밖에 안 되고, 경사가 심해 농기계가 다닐수도 없었는데 (A씨가) 수로 덮개를 추가로 설치하고 복토를 해놓은 것”이라며 “그래서 마을회에서 작년 11월에 회의를 거쳐 펜스로 막은 것이다. 통행로를 내주기로 했다고 하는데, 추진위원들에게 확인해 보니 그런 일은 없었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로 수로 덮개를 설치하고 복토까지 해서 원상복구하라고 내용증명까지 보냈다”며 “그런데 지금까지 원상복구를 안 하고 있다. 마을회 공동 소유 토지인데 허락도 안 받고 무단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표지석은 옛날에 추진위원들이 가구당 4000만 원씩을 낸게 있는데 그 돈으로 한 것이다. 추진위원들에게 물어보니까 돌을 사러갔다고 하더라, 군에서 해줬으면 우리가 돌 사러갈 일이 없었을 것”이라며 “표지석 뒤에 새겨진 추진위원회 명단도 추진위원회도 해산되고, 마을에 없는 사람도 있고 해서 회의를 거쳐 없애기로 한 것이다. 그래서 그라인더로 갈아 없애려고 했는데 잘 갈아지지도 않고 또 그날 약속이 있어 (지우는 작업을) 하다가 갔는데 지금까지 그대로 있는 것”이라고 입장을 내놨다.
이에 대해 전 추진위원장은 “전원마을조성당시 농기계도 다닐 수 있게 도로를 내주기로 하고 거기다 수로 덮개를 한 것이다. 그 밑에는 덮개가 없지 않느냐”며 “도로가 나기 전에는 높이 격차가 없었는데 우리(청자전원마을) 도로를 내면서 경사가 심해졌고 성토를 해줘야 하는데 그쪽에서 요구를 안 하다 보니까 유야무야 지나간 것이다. 도로를 내주기로 한 것은 당시 면장도 알고, 농어촌공사 차장이 감리책임자여서 그 내용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표지석은 마을 돈으로 세우지 않았다. 몇백만원이 들어갔을 텐데 그랬다면 지출 기록이 있어야 하는데 없다”며 “자료를 다 가지고 있는데 표지석 세운 비용으로 지출된 내역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주민 A씨는 “성토를 하고 수로 덮개를 몇개 더 설치를 한 것은 맞다”며 “하지만 통행로를 내주기로 약속해서 한 것이고, 누구보다도 그때 사정을 잘 아는 전 추진위원장도 그렇게 얘기를 했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어 “저도 잘못한 부분은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곳에 통행로를 낸다고 마을 사람들에게 피해가 가는 것도 아니다. 장비가 있으니까 눈올 때 마을 도로 눈이라도 한 번 더 치워줄텐데”라며 “솔직히 저는 마을회 사람들에게 별다른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닌데 길을 막았다”고 하소연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