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작은 목욕탕 7곳 지원에 군비 4억9000만 원 지출
주민들 “적자가 나는 작은목욕탕 뭐하러 짓는지 모르겠다”
복수의 공무원 “작은목욕탕 짓는 것 보다 입욕권 지원 하는 게 더 낫겠다”
부안군 관계자 “군민과 소통대화에서 주민들 요구해”

작은목욕탕이 적자로 군비 지출이 늘어가고 있는데도 부안군이 또 30억 원을 들여 작은목욕탕 건립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백산면과 진서면 등 2곳으로 사업기간은 2024년 2월부터 2026년 9월이며, 지상 1층, 연면적은 250㎡규모다.
작은목욕탕 건립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지만, 문제는 부안군이 대중목욕탕이 있는 부안읍과 거리가 가깝든 멀든 무차별적으로 건립한다는 데 있다.
건립비는 100% 군비다.
2곳이 추가되면 부안군 관내에 작은목욕탕은 9곳으로 늘게 된다.
작은목욕탕이 조성되면 일부 주민들은 편리한 부분도 있지만 예산의 효율성을 따진다면 지양해야 할 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더군다나 교부세 등 정부 지원 예산이 올해와 내년도 합해 1000억 원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부안군은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야 할 상황이다.
그런데도 부안군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는 듯 혈세먹는 하마 전락이 우려되는 작은목욕탕 건립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14일 부안군의회의 상임위에서 작은목욕탕과 관련 공유재산심의를 하는데 제동을 걸지 아니면 통과가 될지 이목이 쏠린다.
작은 목욕탕 건립은 군민들뿐만 아니라 공무원들조차도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작은목욕탕을 건립할 게 아니라 그 예산으로 차라리 입욕권을 지원하는 게 낫다는 것.
운영·관리비 및 시설 노후화 등으로 인해 군비를 지속 투입해야 할 상황으로 돈먹는 하마로 전락할 우려가 커서다.
올해도 작은목욕탕 1곳당 7000만원씩 지원됐는데 앞으로 임금 상승에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지원 액수는 더 늘 수밖에 없는 구조다.
부안군에 따르면 실제 작년보다 올 지원액이 1곳당 1000만 원씩 늘었다.
현재 관내 작은목욕탕이 건립된 곳은 하서, 계화, 줄포, 동진, 위도, 상서, 보안 등 7곳으로 올해만 총 4억9000만 원이 지원됐다.
입욕권을 지원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게 이런 이유 등에서다.
부안군도 뒤늦게 만65세 이상 등을 위한 입욕권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작은목욕탕이 조성된 곳은 제외돼 혜택을 받지 못하는 주민들의 반발도 예상된다.
작은목욕탕 이용 인원은 작년에 비해 늘고 있는 것으로 집계 됐지만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만 이용하고 있어 실제 이용객 숫자는 집계된 숫자 보다 훨씬 적다.
주민들이나 공무원 등 상당수가 작은목욕탕 건립에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A전 의원은 “내가 의원 할 때는 작은목욕탕 건립을 반대 했었다”며 “동진도 작은 목욕탕을 지었는데 부안읍내 목욕탕 가니까 동진면 사람들이 여럿 목욕하러 왔더라”라고 꼬집었다.
주민들은 “적자가 나는 작은목욕탕을 뭐하러 짓는지 모르겠다”며 “읍하고 가까운데는 안 짓는 게 맞다. 다른 면에도 지었으니까 우리 면에도 지어야 한다는 생각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복수의 공무원들은 “작은목욕탕을 짓는 것은 사후관리 문제도 있고 맞지 않는 것 같다”며 ”차라리 입욕권을 지원하는 게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부안군 관계자는 ”올초 군민과의 소통 대화에서 주민들의 요구가 있어 추진하게 된 것“이라며 "작은목욕탕 지원 예산이 6000만 원에서 작년 보다 1000만원 늘어 올해는 7000만원씩 지원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