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왜곡 선동하는 ‘전라도 천년사’ 수정 발간 하라”
부안군의회가 전라도천년사 수정발간을 촉구하고 나섰다.
의회는 13일 열린 본회의에서 “철저하고 투명한 검증을 통해 전라도천년사를 수정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며 “전라도천년사가 전라도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미래세대를 위한 역사 주권을 바로 세우기 위해 철저한 고증과 비판, 공개 토론을 거쳐 재검토를 요청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안군의회에 따르면 전라도천년사 편찬사업은 1018년 고려 현종 때 전라도가 처음 명명화된 것을 기리기 위해 정도 천년을 맞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5년간 전북·전남·광주 3개 지자체가 함께 총 24억 원을 들여 추진했다.
의회는 “역사·문화・예술 각 분야의 전문가 213명의 집필진이 참여한, 34권 13,559쪽에 달하는 전례 없는 대규모의 공동 편찬 역사서로, 전라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안내서이자 한국사 속 전라도의 역사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부안은 동학농민혁명이 백산대회를 통해 혁명의 대의를 밝히는 격문, 혁명의 구체적인 목표인 4대 명문, 혁명군이 지켜야할 군율인 12개조 규율 선포, 전봉준 총대장 추대 등 동학농민혁명의 위상 정립과 실질적인 혁명의 시작이 된 지역”이라며 “그럼에도 『전라도천년사』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이 충청도 청산, 경상도 진주 등을 중심으로 일어났고,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동학봉기자를 민군으로 사용해 이를 탄압·진압했던 민보군과 유사한 용어로 혼용 사용하는 등, 동학농민혁명의 의미와 위상을 심히 왜곡·곡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또한 우리 민족의 시원을 단군조선 BC 2333년임에도 BC 7~8세기로 격하한데다 전라도의 여러 지명을 비정하면서 일본서기를 인용했으며, 전라도 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유물에 대해 '야마토 왜'의 지배설과 연관 짓고 있다”며 “이러한 역사 왜곡과 서술들은 식민사관에 근거한 것으로 전라도민의 자긍심을 높이고자 했던 취지와 달리 갈등과 분열이 중심이 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역사는 잘못 기록되면 되돌리기 어려우며, 잘못된 내용은 향후 미래세대의 왜곡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고 우려했다.